전체 글

전체 글

    [Python 뜯어보기] 0. 파이썬을 공부하기로 결심한 이유

    [Python 뜯어보기] 0. 파이썬을 공부하기로 결심한 이유

    근래 일주일 동안 많은 고민들이 있었다. 하루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공부만 하다보니, 방향성 없이 무턱대고 공부만 하는듯한 불안감이 생겼다. 어떤 방향으로 진로를 구체화 시켜야할까. 내가 정말 좋아하고, 즐겁게 오래 공부할 수 있는 분야가 무엇일까. 실제 현장에서 어떤 기술들이 요구되는지 학부생의 입장에서는 감이 오지 않았다. 그래서 취업 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구인 글을 많이 보면서 정리해보려고 했다.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밍, 암호학 등 기계 느낌 나는 분야 웹 기반 소프트웨어처럼 사람에게 더 가까운 분야 빅데이터 처리 기법 / 알고리즘 개발 등의 연구분야 크게 이렇게 세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① 기계 느낌 나는 분야. - 리눅스 커널 같은 시스템 프로그래밍 같은 곳 - 직접적으로 메모리를 다루어야..

    백준[BOJ] 1707번 : 이분그래프 - BFS, DFS

    백준[BOJ] 1707번 : 이분그래프 - BFS, DFS

    1707번: 이분 그래프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K(2≤K≤5)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그래프의 정점의 개수 V(1≤V≤20,000)와 간선의 개수 www.acmicpc.net BFS, DFS를 연습하기 좋은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처음에 이분 그래프의 개념을 아예 몰라서, 이진트리를 의미하는 줄 알고 한참 고생했다.... 그림으로 보면 이해가 빠르다. 아래와 같다. 인접한 정점을 다른 색으로 모두 칠할 수 있으면 이분 그래프이다. 이분 그래프의 특징 인접한 정점들을 다른 색을 구분할 수 있다. 순환할 수 있다.(2가지 색으로 구분 가능하면 된다.) 최대 이분 매칭 문제(Maximum Bipartite Matching Pr..

    이식성(Portability), 표준의 중요성!

    이식성(Portability), 표준의 중요성!

    백준 온라인 저지[BOJ]에서 10942번 문제를 풀던 중, 며칠에 걸쳐 '우연히' 알게 된 사실! bool dp[2001][2001]; // // 중략 // cout

    백준[BOJ] 1520번 : 내리막길

    백준[BOJ] 1520번 : 내리막길

    1520번: 내리막 길 여행을 떠난 세준이는 지도를 하나 구하였다. 이 지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며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 한 칸은 한 지점을 나타내는데 각 칸에는 그 지점의 높이가 쓰여 있으 www.acmicpc.net 처음 문제의 이미지를 보자마자 깊이우선탐색/넓이우선탐색 문제일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경로의 개수를 찾아야하는 이 문제에서는 DFS가 적합하다는 직감이 느껴졌다. 이 문제에서는 여러 종류의 경로가 서로 중첩되는 경우를 반드시 고려해야한다. 만약 BFS로 탐색을 진행하게 되면 가능한 모든 경로를, 같은 깊이로, 탐색을 진행한다. 이 때에는 (다른 깊이, 같은 지점)에서 만났을 경우를 처리하는 게 복잡하다고 생각된다. 이 글 쓰고 나서 시도해봐야겠다. DFS로 가능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