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논문 리뷰] Signature-Free Asynchronous Byzantine Consensus with t<n/3 and O(n^2) Messages](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E4QfN%2Fbtr2DDiePVk%2FAAAAAAAAAAAAAAAAAAAAALz0Ntc0UXRc57wDLNeCEjRekE6xEGpJlWbucK7SLHmB%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ClcqltZD8XC6Fcd4ylMzgT2iWes%253D)
[논문 리뷰] Signature-Free Asynchronous Byzantine Consensus with t<n/3 and O(n^2) Messages
Authors : Mostéfaoui, A., Moumen, H., & Raynal, M Journal/Conference: 2014 ACM symposium on Principles of distributed computing source: https://dl.acm.org/doi/abs/10.1145/2611462.2611468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new round-based asynchronous consensus algorithm that copes with up to t
![[논문 리뷰] PBFT: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Jko7j%2FbtrZK2qPNkZ%2FAAAAAAAAAAAAAAAAAAAAALkmOcFWsWEaIvtxrPGkgKbaWZ8LfW30geo-LW3mQ_y4%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N1S2zvwgraLueuL%252BrfV0VUjcsSQ%253D)
[논문 리뷰] PBFT: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Authors : Miguel Castro, Barbara Liskov Source : OSDI 1999 [Background] 네트워크 환경 구분 3가지 : 메세지 송수신 간의 딜레이를 기준으로 (1) Synchronous, (2) Partially synchronous, (3) Asynchronous 로 구분함. Byzantine Fault Problem 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Safety 와 Liveness 를 만족시켜야함. : Safety - replicated state machines 들이 linearizability를 만족하는 것. 동일한 인풋이 주어지면 모든 노드들이 같은 결과에 도달하는 것. 마치 하나의 머신이 요청을 atomic 하게 처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야함. : Liveness..
![[논문 리뷰] Block-STM : Scaling Blockchain Execution by Turning Ordering Curse to a Performance Blessing](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wpRE6%2FbtrX2Wz5W9L%2FAAAAAAAAAAAAAAAAAAAAAM1J8u3zY_00_rf9s8DhVUeaFYcyH7xEGYs1LnAafc09%2Fimg.jp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252FsRzuHXn7%252FWwRduVmU42TWU%252BQVw%253D)
[논문 리뷰] Block-STM : Scaling Blockchain Execution by Turning Ordering Curse to a Performance Blessing
Authors : Rati Gelashvili, Alexander Spiegelman, Zhuolun Xiang, George Danezis, Zekun Li , Dahlia Malkhi ACM CCS 2022 [Purpose] Diem blockchain 에서의 연구 합의 단계에서 leader validator 가 블럭(proposed block)을 하나 만들어냈다고 가정하고, 그 블록을 입력을 받는 상황. 블럭 내의 트랜잭션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모든 트랜잭션을 순차적으로 실행시켜야하는데, 이를 병렬로 실행시켜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한 논문. 트랜잭션 간 의존성을 on-the-fly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장점. [Key ideas] 입력 받은 블럭의 트랜잭션 순서를 그대로 유지(preset order..

정보보안 랩실 학부연구생 기록
[ 2022년도 여름방학 ] [ 2022년도 2학기 ] (2023.04.19) sci 급 논문 1저자로 최종 accept (학부시절 MDPI Sensors 논문 출판 후기.)
![[대학원]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합격 후기 (자소서 첨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GCD3V%2FbtrXnJgCmHW%2FAAAAAAAAAAAAAAAAAAAAANdn2oDROzZzRUqFIKg8IJIz7fKZUY_nOjX15BDZ__1I%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7YtMSklDczG03F8Rm0nqHYHVx9c%253D)
[대학원]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합격 후기 (자소서 첨부)
포스텍 블록체인 랩실 합격 후기입니다.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작성합니다. 저는 9월 초에 뒤늦게 대학원 진학 고민을 시작해서, 학기가 시작된 후에 급하게 입시 준비를 했습니다. 이미 카이스트는 접수가 끝난 상태였고, 포스텍이나 서울대를 생각했는데, 블록체인 관련해서는 포스텍이 더 좋은 선택 같아서, 포스텍 아니면 취업해야겠다는 마인드로, 포스텍 하나만 원서를 넣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대학원과는 비교를 해드릴수 없다는 점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포스텍 입시는 두단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첫번째는 포스텍 컴공과 자체 입시와, 두번째로는 지도교수 컨택이 있습니다. 학부 자체의 입시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학부 성적이 어느정도 나오고, 전공 시험만 잘 봐도 무난하게 통과하는 것 같습니다. ..
[회고] - 2022년
2022년도에는 인생의 큰 방향을 결정하는 선택이 있었다.평범한 백엔드 엔지니어를 준비하다가,막학기를 앞두고 블록체인 연구로 급하게 방향전환을 해버렸다. 키워드로 굵직하게 돌아보면 조기졸업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최종 학점 4.3x)교내 빅데이터 동아리 개발팀장졸업 프로젝트 (블록체인)정보보안 랩실 학부연구생 (암호학 및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 대학원 입학 (포스텍 시스템소프트웨어 랩실)[상반기]2022년도 상반기는여태 해오던 백엔드 엔지니어로의 취업준비를 중단하고, 블록체인 연구개발자의 길로 들어서는 과정이었다.1) 동아리 내부 개발팀장(기간 : 01/01 ~ 08/09) 팀장으로 있으면서 크게 2가지를 고민했던 것 같다. (1) 팀 운영 동아리가 요즘 뜨거운 감자인 빅데이터 동아리라서 신입 부원..
![[Klaytn] 블록체인을 활용한 투표와 의사결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qsWiE%2FbtrTDYPiaCm%2FAAAAAAAAAAAAAAAAAAAAALBi_CtSV3_zpBdsni11AEWpQine7f7tWOadNo00KKum%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S1qhroYjmh4Q8tFVW64RxKGvIvA%253D)
[Klaytn] 블록체인을 활용한 투표와 의사결정
블록체인을 활용한 투표와 의사결정(https://if.kakao.com/2022/session/48) 을 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1. Governance 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투명하게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블록체인에서는 서비스의 권한을 구성원에게 나누어주고 직접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목표로 함. 블록체인 위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을 On-chain Governance. 일반적인 전자투표와 다르지 않지만 public blockchain 위에 활용된다면 투명성, 무결성, 부인방지성을 지킬 수 있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강제 이행성을 갖는다. 2. DAO 별도의 중앙화된 위계나 서열 없이 스마트 컨트랙트로 작성된 규칙에 따라 동작. 구성원 ..